[김세주 칼럼] 미국 현지 전문가가 전망하는 2023년 미국 통화정책과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684회 작성일 23-02-08 08:44본문
미국 현지 전문가가 전망하는 2023년 미국 통화정책과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
[K글로벌타임스] 올 1월 미국 주가는 크게 반등했다. 투자 손실을 세금으로 일부라도 보상 받으려는 연말 매도세가 연초 매입세로 전환되는 ‘1월 효과’가 올해도 중시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봉쇄’에서 위드 코로나로 방역 정책을 전환하면서 중국 시장이 정상화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겹치면서 미국 주가가 뛰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1월 주가 상승이 2023년 미국 경제 전망을 밝게 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정책은 지속되고 있고 이에 따라 경제도 여전히 침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도 경제 침체를 전망하고 있다. 다만, 침체 정도나 침체 기간이 다를 뿐이다. 한편에서는 침체에 빠진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빨리 단행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 효과는 6개월 지나야 시장과 경제에 반영된다. 1월 31일에서 2월 1일 열린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상이 마지막 금리 인상이라해도, 7~8월에야 인상 효과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물가를 잡기 위한 긴축정책 효과가 최소 7월까지는 지속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7월까지 경기는 여전히 위축될 것이라고 보는 게 옳다. 이는 기업들의 상반기 경영전략에도 미극의 경기침체를 전제로 수립돼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침체를 예측할 수 있는 징후는 많다. 컨퍼런스 보드(Conference Board)가 매달 발표하는 경기선행지수(Leading Economic Index)가 10개월 연속 하락했다. 또 증권가에서 경기침체의 신호로 여기는 2년만기 연방채권금리와 10년만기 연방채권금리의 역전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3개월만기 연방채권금리 마저 10년만기 채권보다 높았다. 과거 8차례 있었던 3개월물과 10년물의 역전 현상은 모두 다 경기 침체 신호탄이 됐었다. 똑같은 상황이 재현될 것이라고 확신하지 못하더라도 경기침체 전망에 힘을 실어주기엔 충분하다.
물가를 잡으려는 FED의 금리 인상은 달러 환율에 크게 영향을 끼쳤고, 각국 통화당국도 자국 환율 방어에 노력을 기울였다. 일반적으로 달러 기준으로 발행된 회사채나 국채는 지난 10여년간 저금리의 혜택을 누렸지만 미국의 긴축정책으로 야기된 달러 초강세로 어머어마한 상환부담을 떠안게 됐다.
다행히 미국의 금리인상이 막바지에 있어, 달러 강세는 어느 정도 수그러들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달러대비 엔화 환율로도 조심스레 전망할 수 있다.
특히 올 4월 수장이 바뀌는 일본 중앙은행(Bank of Japan)이 지난 2013년부터 고수해 왔던 금융완화정책 기조를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달러·원화 환율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일본은 미국 등 다른 선진국들의 긴축 정책과는 달리, 기준금리가 마이너스(-0.1%)로, 여전히 완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해 12월 일본 중앙은행이 금리인상과 유사한 10년물 국채 금리 변동폭을 0.25%(25bp)에서 0.5%(50bp)로 높이자 외환시장에서 달러 강세가 약세로 전환된 상태다. 이처럼 일본 중앙은행의 정책에 관심을 기울여야 환율의 향방을 가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달러대비 원화 환율은 한미 양국의 경제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지난 해 달러 당 1,450원 대 까지 치솟다 현재 1,220~1,250원대에서 움직이는 원화 환율이 다시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화(globalization)에서 지역화(localization)로의 변화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엔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미국 정부가 역점을 두는 분야가 어딘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향후 5년 간 투자가 지속될 업종 중 하나가 환경 업종이다. 2022년 초까지 미국에서 84조 달러가 환경 등 ‘지속 가능한’ 자산에 투자됐다. 거의 400개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한 ‘RE 100(renewable 100)’ 협약도 가볍게 볼 수 없다.
2050년까지 기업활동의 전력을 100% 재생 에너지로 사용하자는 기업간 협약이지만, 이들 대기업들과 거래하고 있는 기업들도 친환경 프로젝트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미국의 친환경(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투자 자금 중 1조 2,000억 달러는 아예 원유 관련 분야에 투자를 금지하고 있다.
이 처럼 ‘지역화, 친환경 무역 장벽, 부동산·증권 등 자산가치 하락’ 등 올해 예상되는 미국의 경제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물론 한국 경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때 한국 외환시장에서 달러 가치는 지난 해 처럼 강세로 다시 전환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출처 : K글로벌타임스(http://www.kglobal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