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칼럼

ICTC 컨설턴트들의 무역칼럼입니다.
(회원가입,로그인 후 작성 가능 / 유용한 무역칼럼외에는 삭제처리됨)

미 CBP, 알루미늄 제품, 제련·주조국 미확인 시 200% 관세 폭탄 – ‘UN(Unknown)’ 입력 시 자동 러시아산 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38회 작성일 25-07-21 16:53

본문


         

제련국과 주조국이 확인되지 않은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미 CBP      는 러시아산으로 간주하고, 200% 관세폭탄 부과!. 지금 당장 공급망 정 보부터 다시 점검하세요


알루미늄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거나 중개하는 무역업체는 반드시 공급망 정보를 다시 점검해야 합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2025년 6월 28일부터 알루미늄 파생제품 수입 시, 제련국 (smelt country) 및 주조국(cast country) 정보를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명확한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a220a4ce072d3d335410403568d446d7_1753083567_8924.png
 

이는 232조 관세 규정 및 바이든 대통령령(Proclamation 10522)에 따른 조치로, 러시아산 알루미늄에 대한 200% 고율관세를 모든 불명확한 제품까지 확대 적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CSMS # 65340246 -GUIDANCE: Section 232 Aluminum Import Instructions for Reporting Unknown for the Country of Smelt and Cast

For the Importer's Additional Declaration Record Type '07' if either the derivative aluminum primary and/or secondary country of smelt or country of cast is unknown, report ‘UN’ (unknown) for the ISO country code.When reporting ‘UN’, the 200 percent Section 232 duties for Russia aluminum will be assessed on the entry summary line.





❗ 핵심 요점 요약

항목

내용

제련/주조국 확인 불가 시

ISO 국가 코드 대신 'UN(Unknown)' 입력 시, 자동으로 러시아산 간주

적용 HS코드

9903.85.67 또는 9903.85.68 (제품 특성에 따라 선택 입력)

적용 관세율

200% 추가관세 (러시아산 알루미늄에 적용되는 제재 관세와 동일)

보고 조건

1차 및 2차 제련국 모두 보고, 둘 중 하나라도 누락 시 ‘미보고’ 간주




※ 왜 주의해야 하나요?



▷  수출자가 제련·주조국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수입자가 수입신고 시 ‘Unknown’으로 입력하         면 → CBP는 자동으로 러시아산으로 간주하고 200% 관세를 부과합니다.


▷  대상은 알루미늄 합금, 시트, 압출재, 판재, 봉, 포일, 자동차 부품 등 모든 알루미늄 파생제품입니다.


▷  특히 HS코드만 입력해서는 부족하며, 별도로 ISO 국가코드를 통 해 제련국·주조국을 입력해야 통관이 가능합니다.



★  무역업체가 지금 해야 할 일


1. 공급망 내 원재료 흐름 추적: 공급처로부터 제련 및 주조 국가 정보를 확인하고, 문서로 증빙자료 확보하기


2. HS 코드 외에 국가코드 기재: 수입자에게 ISO 국가코드 기준으로 제련국, 주조국 정보를 정확히 안내


3. Advance Ruling 신청: 제품 출처에 불확실성이 있거나 혼합 원산지인 경우, CBP 사전판정(Advance Ruling)을 통해 관세 위험 최소화


4. 통관 실무자 및 파트너사 교육: 미국 바이어 또는 관세사를 통해 수입 신고서 작성시 ‘Unknown’ 사용 금지 지침 전달



★  ICTC 국제원산지인증원



“이제 알루미늄 제품의 원산지는 단순 ‘중국산’이라는 말로는 안 됩니다.

제련과 주조 국가가 모두 확인되지 않으면 러시아산 간주 + 200% 관세라는 무시무시한 페널티가 기다립니다. 공급망 정보를 재정비하고, 수출 전 미국 수입자와 통관 전략을 함께 마련해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문의: ICTC 국제원산지인증원

           이메일- ictcglobal@ictckorea.com



□  지원 분야:


○ 공급망 점검 및 원산지 리스크 진단

○ CBP 원산지 사전판정(Advance Ruling) 자문​

○ 원산지증빙서류 작성 자문



a220a4ce072d3d335410403568d446d7_1753084306_4594.png
 




#관세폭탁#원산지#미국#상호관세#알루미늄#철강#232조



중소기업의 해외통관 애로와 비관세장벽 고충, ICTC가 도와드립니다.

상담 바로가기